반응형
1. 잔광현상이란?
LED 잔광현상(Residual Glow)이란
LED 조명을 껐는데도 아주 희미하게 빛이 계속 남아 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스위치를 껐음에도 불구하고 LED 내부 소자에 미세한 전류가 흐르면서
약하게 발광하는 상황입니다.
2. 왜 LED에 잔광이 생길까? (원인)
주요원인 | 상세 설명 |
1. 누설 전류 | 스위치를 껐지만, 배선이나 부품을 통해 미세 전류가 LED로 흘러 감. |
2. 정전용량성 결합 | 전선 간 전자기 유도(정전기 유사 효과)로 인한 미세 전류 발생. 특히 스위치까지의 전선이 길거나 AC220V 환경에서 자주 발생. |
3. 스위치 구조 문제 | 일부 스위치(특히 LED 스위치나 절전형 스위치)는 내부에 표시등(네온램프 등)이 들어있는데, 이 표시등을 위해 약간의 전류를 흐르게 만듦. 그 전류가 LED를 미세하게 밝히는 경우가 있음. |
4. LED 드라이버 특성 | 싸구려 LED 드라이버(전류조정 장치)가 아주 미세한 전류도 받아들여 발광하는 경우. 고급 제품은 이 부분 차단 설계가 되어 있음. |
🔹 요약: 껐는데도 극소량의 전기가 LED까지 흘러가면 잔광이 생긴다!
3. 잔광현상이 특히 LED에서 더 잘 보이는 이유
- LED는 아주 소량의 전류에도 발광할 수 있음.
- 기존 백열등이나 형광등은 약한 전류로는 빛을 못 내지만,
- LED는 몇 mA(밀리암페어)만 있어도 빛이 나기 때문에 문제가 더 쉽게 드러납니다.
4. 해결 방법
✅ 간단 해결법
방법 | 설명 |
1. 잔광 제거용 콘덴서 설치 | 스위치와 등 사이에 **잔광 제거용 콘덴서(AC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 전기적 노이즈나 잔류전류를 흡수. (가장 일반적 방법) |
2. 스위치 교체 | 네온 표시등이 있는 스위치 대신 표시등 없는 일반 스위치로 교체. |
3. LED 교체 | 잔광 방지 설계가 잘된 고급형 LED 조명으로 교체. |
4. 전원선 배선 수정 | 누설 전류가 심한 경우(특히 오래된 건물), 전선 배치를 수정하거나 별도 차단 회로 추가 설치. |
5. 누전차단기 확인 | 집 전체 누전차단기 상태가 안 좋으면 미세 누설전류가 생길 수 있음 → 교체 필요. |
5. 잔광 제거용 부품 예시
- AC 콘덴서 (0.1μF~0.47μF / 400V 이상급) 사용
- 제품 예: "잔광 제거기" 또는 "LED 콘덴서"로 시중 판매
설치는 비교적 간단한데,
스위치와 조명 사이에 병렬 연결하면 됩니다.
(주의: 직접 설치할 경우 반드시 차단기를 내리고 작업하세요! 위험합니다.)
6. 그림으로 보면

이렇게 "스위치 뒤쪽" 또는 "LED 조명 입력단"에 콘덴서를 설치하는 구조입니다.
✨ 결론
LED 잔광현상은 매우 약한 전류도 빛으로 변환하는 LED 특성 때문입니다.
해결 방법은 콘덴서 설치가 가장 일반적이며, 필요시 스위치나 조명을 교체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원분전반에서 CT와 PT란? (1) | 2025.05.21 |
---|---|
CT 전력량계 란? (0) | 2025.05.21 |
🌞 CPV(집광형 태양광 발전, Concentrated Photovoltaic)란? (0) | 2025.04.28 |
태양광 패널에 돋보기(렌즈)로 태양열을 모아주면 전기가 더 많이 발생할까? (0) | 2025.04.28 |
전기기능사 실기준비 시퀀스도 배관 및 기구배치도 (1)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