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본 원칙:
모델 공간(Model Space)에서는 1:1로 그린다 →
축척은 레이아웃(Paper Space)에서 조정하고 출력한다
🔁 1단계: 모델 공간에서 도면 1:1로 그리기
- 단위 설정 명령: UNITS
- 대부분 mm 또는 m로 설정 (보통 건축은 mm 기준)
예:
실제 3미터짜리 벽 → 3000mm로 그린다
팁: 절대로 모델 공간에서 축척을 맞추려 하지 마세요. 모든 객체는 실제 크기로 작성해야 합니다.
📐 2단계: 레이아웃(Paper Space) 설정
✅ 레이아웃 이동
- 하단 탭에서 Layout1 클릭 → 도면틀 영역(Paper Space) 진입
- A3, A4 등 용지 크기 설정 가능
✅ 용지 설정
- PAGESETUP 명령 입력 → 새 페이지 설정
- 프린터/플로터 선택 (예: DWG to PDF.pc3)
- 용지 크기 선택 (예: A3, A2 등)
- 출력 방향 설정 (가로/세로)
팁: 자주 사용하는 용지는 페이지 설정으로 미리 저장해두면 반복 작업을 줄일 수 있어요.
🔍 3단계: 뷰포트(Viewport) 축척 설정
✅ 뷰포트 만들기
- MV 명령 (Make Viewport)
- 사각형 뷰포트를 드래그해서 생성
- 뷰포트 안에서 더블클릭 → 모델 공간으로 진입
✅ 뷰포트 축척 지정
- 뷰포트 선택 → 하단 상태표시줄에서 축척 선택
예: 1:100, 1:50, 1:200 - 도면이 원하는 크기로 조정됐는지 확인
- 뷰포트 다시 클릭 후 LOCK 설정 (확대/축소 방지)
팁: 뷰포트를 락(Lock)하지 않으면 실수로 스케일이 바뀌는 경우가 많습니다. 꼭 잠그세요!
🖨️ 4단계: 출력(Plot) 설정
- PLOT 명령 입력
- 출력 장치 설정 (예: DWG To PDF.pc3)
- 용지 크기 설정
- What to plot: Layout 선택
- Plot scale: 1:1 (레이아웃에서 이미 축척 조정함)
- Plot style table: monochrome.ctb (흑백 출력 시 사용)
✅ 미리 보기 (Preview) → 출력
팁: CTB 파일은 선 색상별 선두께 설정에 사용됩니다. monochrome.ctb는 모두 검은색으로 출력하므로 프린트 테스트 시 좋습니다.
🗂️ 자주 쓰는 출력 단축 명령
명령어 | 설명 |
PLOT | 출력 창 열기 |
PAGESETUP | 출력 기본값 저장 |
MV | 뷰포트 생성 |
MVIEW | 여러 뷰포트 설정 가능 |
SCALELISTEDIT | 자주 쓰는 축척 리스트 조정 |
💡 출력 & 축척 설정 팁 요약
- 모델 공간: 무조건 1:1 실제 크기
- 축척 설정: 레이아웃 뷰포트 안에서 조정
- 출력 스케일: 1:1 (Plot Scale) 설정
- MV 명령으로 뷰포트 만들고, LOCK 으로 스케일 고정
- CTB 파일로 선두께, 색상 자동 제어
반응형
'IT 소프트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오토캐드에서 치수 자동 입력하는 주요 방법 (0) | 2025.05.04 |
---|---|
오토캐드(AutoCAD)에서 블록(Block) 기능 (0) | 2025.05.04 |
🧾 오토캐드 주요 단축키 정리표 (0) | 2025.05.04 |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Excel 단축키 (0) | 2025.05.04 |
PC 메인보드와 SSD 최대속도 호환표 (0) | 2025.05.04 |